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pc와 또 다른 pc를 이어주는 링크의 조합
1번 pc에서 2번 pc로 데이터를 전송할떄는 패킷이라는 규칙을 이용한다.
패킷은 네트워크를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한다.
대용량의 패킷을 그대로 전송하지 않고 조각조각 분할해서 전송한다
※하나의 데이터를 그대로 통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게 되면
수 많은 데이터들을 전송할때 다른 패킷(데이터)들의 흐름을 방해하기때문이다
ex)도로위에 승용차들만 있을때 도로상황은 원할하지만 커다란 대형트럭 수십개가 들어온다면 승용차들도 운행하는데 방해가 된다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전송할때 전송하는 패킷 순서대로 도착하면 좋겠지만 각각의 패킷마다 종류,크기가 다르기떄문에 도착하는 순서가 뒤죽박죽이다 그래서 패킷에 순서를 적어서 보낸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컴퓨터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숫자들이다.
텍스트도 이미지도 수많은 0과1로 뭉쳐진 데이터들이다.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는 비트라고하며 비트 여덟개를 1바이트 (byte)라고한다.
1010101과같은 숫자들이 어떻게 텍스트로 변경하는가?
아스키 코드라고 xx(숫자)가 들어오면 문자열 Y로 변환해라 라는것이 정해져있다.
랜과 왠 (LAN & WAN)
건물과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이름이 LAN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로 왠(WAN)이라고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LAN과 LAN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ex)SKBroadBand,KT,U+등 전국 어디서든 사용할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
특징으로는
랜(LAN) | 왠(WAN) | |
범위 | 좁다(건물이나 특정지역) | 넓다 (LAN과 LAN을 연결) |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오류 | 적다 | 많다. |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성 하고싶을떄 필요한것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인터넷 회선 그리고 이 두개를 가정과 연결하기 위한 공유기가 필요하다.
접속 방식에는 유선 랜 방식과 무선 랜 방식이 있다.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눈에 띄게 다른점은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는 점이다.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소위 말하는 회사인트라넷으로 메일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메일주소를 외부에서 보내고 받을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이다.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에는 웹서버,DNS서버,메일서버가 있으며
회사의 서버는 온프레미스나 클라우드로 운영되고 있다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한다.
문제
1.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을 () 이라고한다.
2.컴퓨터는 () ,과 () 만 이해한다
3.정보를 표시하는 최소의 단위를 () 라고한다.
4.특정 건물이나 지역을 범위로 하고 속도가 빠르며 오류 발생 확률이 낮은 네트워크를 ()이라고한다.
5.전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속도가 느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네트워크를 ()라고한다.
6.인터넷에 연결하려면 우선 ()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하고 계약한다.
7.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 라고한다.
8.기업의 서버는 ()나 클라우드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다.
정답
패킷/0,1/비트/LAN/WAN/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DMZ/온프레미스
'개발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의 이해 (초급편3편) (0) | 2023.06.06 |
---|---|
네트워크 이해 (초급편2편) (0) | 2023.06.06 |
리눅스 명령어 (0) | 2023.05.06 |
Docker Desktop 에러 Docker Desktop requires a newer WSL kernel version. (0) | 2023.05.06 |
쿠버네티스란?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