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3) 썸네일형 리스트형 TIL AWS 1일차 django 심화 강의를 다듣고 이제 배포를 위한 aws강의가 남아있다 배포같은 경우에는 전에도 짧게나마 해본경험이 있기떄문에 크게 어렵지도 않았고 깊이 파고들지도 않았다 다만 전에 배포할떄는 가비아로 쉽게 열었지만 지금 배우는 방식은 알아야할것들이 많았다 사실 강의에서 배워서 내용은 알고있지만 이런것까지 알고 있어야 하나 싶다. aws 리전 :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것을 의미 사용자와 리전을 가깝게 해야 network latency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리전 선택 시 고려사항 - 내가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에 해당 리전이 적합한지? - 고객에 대한 Latency 고려 - 특정 리전에 원하는 AWS 서비스가 아직 준비되지 않은 경우가 있음. -> Ex) Ma.. TIL django 심화 5일차 드디어 기나긴 django 심화 마지막주차이다 5주차에서는 코드를 test.py에서 검증또는 개발을 하는 방법인데 기존에 project app을 생성할떄 test.py가 어떻게 쓰는지 몰라서 항상 방치했는데 이번 5주차 강의를 통해 from django.test import restcase 를 통해서 간단하게 맞는지 검증을 해보았다. https://www.django-rest-framework.org/api-guide/testing/ Testing - Django REST framework www.django-rest-framework.org django 공식 홈페이지에서 test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려주고있다. 회원가입검증을 하게된다고 진짜 db에 들어가는것이아니다 서로 독립적인 메소드이기떄문이 t.. WIL django 심화과정 1주차 이번주 장고 심화 강의를 들으면서 수업이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면서 이제는 구글링을하거나 기존에 쓴 TIL 을 보지 않아도 척척 진행할수있었다. 가상서버설치,라이브러리설치,모델링 db에 저장 등등 기존에도 할수있었지만 안보고 생각만해서 바로 코드나오는게 반의반자국 성장한 느낌이다. 더불어 기존 라이브러리 설치하고 강의를 들을때는 아주 적은정보의 임포트만 알수있었지만 https://django-rest-framework-simplejwt.readthedocs.io/en/latest/ Simple JWT — Simple JWT 5.2.1.post3+gbd4c6ce documentation Simple JWT provides a JSON Web Token authentication backend for the D.. TIL django 심화과정 4일 어제는 게시글타입을 serializer ,modelserializer를 통해 "GET","POST","PUT","DELETE"를 진행했다면 오늘은 웹만들떄 가장 시작이되는 로그인부분을 진행하였다 수업내용자체는 2주차내용과 크게 다르지않았기때문에 크게 어렵지않았고 프론트엔드에 연결하는부분이 JS라 좀 익숙치않았던것 제외하고는 이해하기 쉬웠다 아침 퀴즈의경우에는 수업내용 90%이상 그대로 따라나와서 한번더 복습한다는 개념으로 풀수있어서 좋았다 (사실 코드같은경우는 튜터님이 거의다 적어주셨기때문에 git에 연결한다던지 라이브러리설치 requirments.txt,gitignore등 생성만 할줄알고 코드의 흐름만 이해한다면 시간내에 풀고도 남는 문제 였다) 앞으로 이렇게 전날에 진행했던 내용들을 다음날아침에 복습.. TIL django심화 3일 https://www.django-rest-framework.org/tutorial/3-class-based-views/ 3 - Class based views - Django REST framework We can also write our API views using class-based views, rather than function based views. As we'll see this is a powerful pattern that allows us to reuse common functionality, and helps us keep our code DRY. We'll start by rewriting the root view as a cla www.django-rest-framework.o.. TIL django 심화과정 2일차 오늘 아침에 postman을 이용하는 get과 post의 요청과 결과값을 제출하는문제였다 문제는 쉬웠다 수업내용에 나와있던 그대로 였으니까 어제에 이어서 2강수업을 진행하는데 시리얼라이저와 모델시리얼라이저가 주된 수업내용이였다 안그래도 튜터님이 내일 시리얼라이저가 뭔지 질문을 하신다고했는데 개념적으로는 이해가 가지만 단답형으로 대답하기에는 개념이 덜 잡혀있다. 기존에 form방식으로 정보를 하나하나 옮겼다면 이제는 serializer을 이용해 딕셔너리형태(JSon)로 유지하면서 유효성 검사라던지 오류메세지등 대부분의 백엔드 처리를 일괄적으로 처리 할수 있었다. serializer에 대해 자세히 알기위해서 https://donis-note.medium.com/django-rest-framework-%EC%.. TIL django심화 1일차 오늘부터 django심화과정을 진행한다.오늘은 1주차~2주차 과정을 강의를 들었는데 지금까지 두루뭉술하게 개념잡혀있던것을 확실하게 알고 갈수있어서 좋았다. 수업내용중 일부이다 지금까지 form방식을통해 GET,POST를 했지만 RestFul을 배우면서 이런식으로 진행한다고한다 기존에 GET,POST를 하게되면 정보를 전달후 새로고침을해야 변경된화면을 볼수있었는데 Restful API를 사용한다면 조금더 현대적인(?) 프로젝트 과제물을 만들어 낼수있을것같다 기존에 구현하기힘들었던 기능을 좀더쉽게 구현한다던지 기대가된 더불어 기존 url에서는 method 설계를 예전방식,보안이 되지않는 방식이였다면 이제는 많은 templates를 생성하지않아도 api설계만 잘한다면 하나의 페이지에서도 많은 기능을 구현할수있다. WIL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마치며 프로젝트 기간동안 머신러닝에대한 개념들이 안잡혀있어서 많이 아쉬웠다 이번주말동안 공부하면서 유튜브영상을하나 발견했는데 머신러닝 수업을 듣는동안 겸행했다면 더 좋았을거같다 거창한 내용은 아니고 정말 입문자들에게 이건 어떤거고 이렇게 쓰이는건지 알수있어서 좋았다 더불어 머신러닝을 배워서 데이터 분석쪽 으로 가고싶다면 kaggle과 친해지고 자주 문제풀어야겠다 강의때 실습했던,프로젝트에 사용햇던 타이타닉 데이터가 나오면서 반갑기도하였고 조금더 응용 잘하고싶다. https://youtu.be/_ISCm5LBNI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